Web Analytics
top of page

좋은 지도자가 되려면 良い指導者になるには To be a good leader

ree

2000년 4월 15일 토요일 벨베디아 스튜디오에서

2000年4月15日 土曜日 ベルべディアスタジオにて

April 15, 2000, Saturday, at Belvedere Studio



지도자가 전체를 관장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 전문 분야에만 집중하기 보다는 모든 면에서 보편적이고 전반적으로 다 알아야 됩니다. 그래서 전반적 으로 보편성을 유지해야 되기에 어느 한 분야의 전문성을 유지하기가 힘들어 집니다. 그런데 지도자가 전문분야의 범위를 넓히기 시작하면 주변에 있는 자 들이 그 지도자를 이해하지 못할 때도 있습니다. 주변에 있는 자들은 자기 전 문 분야 이외에는 다른 분야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윗 사람이 무슨 차원에서 일하는지 모를 때도 있습니디-. 그럴 때 주변 사람들은 자기 전 문분야 이외에 대해서는 공부를 해서 알거나 아니면 아예 관여하지 않는게 좋 을 때도 있습니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자기 입장에서 어떤 견해를 가지고 지 도자에게 조언을 하거나 다른 분야에 대해 비판을 하는 것은 옳바른 방법이 아 닙니다.


指導者が全体を主管するためには、ある一つの専門分野だけに集中するよりは、あらゆる面で普遍的で全般的にすべてを知らなければなりません。それで全般的に普遍性を維持しなければならないので、ある一分野の専門性を維持することが難しくなります。ところで指導者が専門分野の範囲を広げ始めると、周囲にいる者たちがその指導者を理解できないときもあります。周囲にいる者たちは自分の専門分野以外には他の分野を理解できないからです。ゆえに上の人がどのような次元で仕事をしているのか分からないときもあります。そのようなとき周囲の人々は自分の専門分野以外については勉強して知るか、あるいはまったく関与しない方がよいときもあります。よく知りもしないのに自分の立場から何らかの見解を持って指導者に助言をしたり、他の分野について批判をするのは正しい方法ではありません。


In order for a leader to govern the whole, he or she must have universal and comprehensive knowledge in all aspects, rather than focusing on a single specialty. Therefore, maintaining universality becomes difficult becaus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expertise in a specific field. However, when a leader begins to expand the scope of his or her expertise, those around him or her may not understand him or her. This is because those around him or her do not understand fields other than their own. Therefore, there are times when they do not know the level at which their superiors work. In such cases, those around him or her should study and learn about areas outside of their own expertise, or it is better to not get involved at all. Without knowing well, to hold some opinion from one’s own position and give advice to the leader, or to criticize other fields, is not the right way.



모든 것에는 다 과정이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결과만 보기를 좋아 하고 그 결과에 의해서만 생각을 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스포츠 경기를 보는 것은 결과를 보는 것이지 과정적인 것을 보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어 떤 결과 뒤에는 남이 모르는 피 눈물나는 과정들이 있게 마련입니다. 그 과정 은 잘 모르면서 결론만 가지고 생각을 하고 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 생을 살면서도 언제나 잘 보이는 화창한 날씨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비가 올 때도 있고 폭풍이 몰아칠 때도 있고 휘오리 바람이 몰아칠 때도 있습니다. 구 질구질한 날씨나 음산한 날씨가 찾아올 때도 있습니다. 인생의 과정에서는 이 러한 모든 것들이 우리에게 필요합니다. 어려운 과정들을 이기고 난 후의 결과 들이야 말로 우리에게 더 큰 보람을 안겨줄 것입니다.


すべてのことには皆過程があるのに、大部分の人々は結果だけを見るのを好み、その結果によってだけ考えようとします。例えばスポーツ競技を見ることは結果を見るのであって、過程的なものを見るのではありません。ところがある結果の背後には、人が知らない血の涙の出るような過程があるものです。その過程をよく知らずに結論だけを持って考え、評価する場合が多いのです。人生を生きながらも、いつもよく晴れた陽気な天気だけがあるのではありません。雨が降るときもあり、嵐が押し寄せるときもあり、竜巻が吹き荒れるときもあります。じめじめした天気や陰鬱な天気が訪れるときもあります。人生の過程においては、このようなすべてのものが私たちに必要なのです。困難な過程を乗り越えた後の結果こそが、私たちにより大きなやりがいを抱かせるでしょう。


Everything has a process, yet most people like to see only the result and try to think only according to that result. For example, watching a sports game is seeing the result, not seeing the process. However, behind a certain result there are processes full of tears and blood that others do not know. Without knowing the process well, many cases arise where people think and evaluate only with the conclusion. In living life, there is not always only clear and sunny weather. There are times when rain falls, when storms rage, and when whirlwinds blow fiercely. There are also times when dreary weather or gloomy weather comes. In the course of life, all these things are necessary for us. The results after overcoming difficult processes will indeed bring us greater fulfillment.



좋은 지도자가 되려면 너무 타산적이면 않돼요. 어떤 경지에 가서는 무 조건이라는 게 있어야 돼요. 조건이 없어야 돼요. 조건없이 걸을 수 있는 길 이 있어야 돼요. 남들이 다, 99%가 조건을 걸 수 있다고 하더러도 그것이 생 애에 있어서 합당하게 보여질 수 있다고 할 지라도 무조건 자기를 바칠 수 있 어야 돼요. 아무 것도 바라는 게 없이 죽음의 길도 걸을 수 있어야 돼요. 그래 야 훌륭한 지도자가 될 수 있어요. 이런 자들이 존경을 받아야 돼요. 이게 최고로 힘든 길이기 때문이에요. 이게 나의 주관을 놓고 가장 힘든 고비이니까 요. 여기에서 결의를 봐야 돼요. 이것을 못하면 좋은 지도자가 될 수 없어요. 그렇지 않은 사람이 전체를 맡으면 그 단체는 불행해 져요.


良い指導者になるには、あまり打算的であってはいけません。ある境地に行くと、無条件というものがなければなりません。条件があってはならないのです。条件なしに歩める道がなければなりません。他人がみな、99%が条件をかけることができると言ったとしても、それが生涯においてもっともらしく見えうるとしても、無条件に自分を捧げることができなければなりません。何も望むことなく、死の道さえも歩むことができなければなりません。そうしてこそ立派な指導者になれます。このような者たちが尊敬を受けるべきです。これは最高に困難な道だからです。これは自分の主管を手放すうえで最も苦しい峠だからです。ここでの決意を見なければなりません。これができなければ良い指導者にはなれません。そうでない者が全体を任されると、その団体は不幸になります。


To be a good leader, you can't be too calculating. At a certain state, there must be something unconditional. There must be no conditions. There must be a path you can walk without conditions. Even if others, 99 percent, may place conditions, and even if that may appear reasonable in life, you have to be able to give yourself unconditionally. You have to be able to walk the path of death without expecting anything. Only then can you become a great leader. Such people should be respected. Because this is the most difficult path. This is the toughest trial in letting go of your own subjectivity. You have to make the determination here. If you can't do this, you can't be a good leader. If someone who is not like this takes charge of the whole, that organization becomes unfortunate.



이것은 천하가 입증하고 세속의 역사가 입증하고 하나님이 원하시는 섭 리의 길이요, 섭리의 노정이예요. 전체를 위하는 절대성을 강조한다면 그것을 위해서 죽어야 되는 게 절대성이 아니예요. 목숨을 버리는 게 절대성이 아닙니 까? 그 외에는 절대가 아니예요. 다 가짜들이예요. 완성한 인간들이 아니예 요. 개체가 아니예요. 완성된 개체의 길을 가기 위해서는 죽을 수 있는 길을 가야 돼요. 하늘이 필요하다면 그런 남자들이 필요하지 다른 사람들이 왜 필요 해요? 그런 사람들이 부모님 주변에 많으면 얼마나 좋아요. 세상에서는 죽을 각오를 해도 될까 말까이고 성공할까 말까인 데 기회주의적으로 그렇게 살아 가지고 될 것 같아요? 어림없어요.


これは天下が立証し、世俗の歴史が立証し、神が願われる摂理の道であり、摂理の路程です。全体のための絶対性を強調するならば、それのために死ぬことこそが絶対性ではないでしょうか。命を捨てることが絶対性ではないでしょうか?それ以外は絶対ではありません。すべて偽物です。完成した人間ではありません。個体ではありません。完成した個体の道を行くためには、死ねる道を行かなければなりません。天が必要とするならば、そういう男たちが必要で、他の人たちがなぜ必要でしょうか。そのような人々が父母様の周りに多ければどれほど良いことでしょうか。世の中では死ぬ覚悟をしてでも良くできるか、できないかであって、機会主義的に生きてていいと思いますか?とんでもないことです。


This is the way and course of providence proven by the world and by secular history, and it is what God desires. If you emphasize the absoluteness of serving the whole, is not being willing to die for it the very definition of absoluteness? Isn't it absolute to give up your own life? Nothing else is absolute. It is all fake. It's not perfected humans. It's not true individual. To walk the path of a perfected individual, you must walk a path on which you can die. If heaven needs it, such men are needed; why would other people be necessary? How wonderful it would be if many people like that were around Parents. In this world, it's a matter of whether you can do good or not, even if it means being prepared to die, so do you think it's okay to live like opportunistic way? No way.



용서만 좋아하는 자들은 다 없어져도 괜찮아요. 자기가 잘못한 게 없다 는 자들은 다 나쁜자들이예요. 잘못한게 하나도 없는 그런 인간들은 이 세상에 없어요. 모든 것을 다 알 수 있는 인간도 이세상에 없어요. 자기 분수에 넘치 는 일을 자리 때문에 맡게된 자들이 잘못한 게 없다니요. 잘못한게 하나도 없 다는 자들일 수록 용서는 더 좋아하지요. 남은 용서할 수 없으면서 자기는 용 서를 받기를 원하고 그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그런 인간들은 이상세계에서 는 없어야 돼요. 그렇지 않으면 이상세계의 출발은 말도 않돼요.


許しだけを好む者たちはみな消えてもかまいません。自分が過ちを犯していないという者たちはみな悪い者です。過ちが一つもない、そんな人間はこの世にいません。すべてを知り得る人間もこの世にいません。身の程を超える仕事を地位のために任される者たちが、過ちがないとは何事でしょうか。過ちが一つもないという者ほど、許されることをより好むものです。他人を許すことができない一方で、自分は許されることを望み、それを当然だと思うような人間は理想世界にはあってはなりません。さもなければ理想世界の出発は成り立ちません。


Those who like only forgiveness can all disappear and that would be fine. Those who say they have done nothing wrong are all bad people. There are no people in this world who have not done a single wrong. There is no one in this world who can know everything. How can those, who were assigned work beyond their ability, because of their position have done nothing wrong? The more someone claims to have done no wrong at all, the more they tend to prefer being forgiven. People who cannot forgive others yet want to be forgiven themselves and take that for granted should not exist in an ideal world. Otherwise, the start of an ideal world is out of the question.



미국같은 나라에서 개척을 나가는 데 온 가족을 조그만 웨건 (wagon: 4 륜 짐마차)에 싣고 간다고 생각해 봐요. 모든 가족이 나름데로 할 일들이 있잖 아요. 아버지가 웨건을 세워놓고 먼져가 가지고 갈길을 찾는다면 어머니는 그 웨건을 둘러싸고 모닥불을 피우고 애들을 먹이고 달래주고 뒤치닥거리를 해줘 야 되잖아요. 애들은 엄마를 도와줘야 되고요. 왜냐하면 목적지가 있으니까요. 그렇다고 몇몇 사람들이 지나가는 길은 자연은 금방 커버를 해 버려요. 숲속으 로 지나간다고 해도 한두 번 걸어 지나간다고 해 가지고 길이 생기는 게 아니 예요. 여러번 가야지 풀이 많이 밟혀가지고 죽고 해서 오솔 길이 생기는 거지 요. 도로를 만들 정도가 될려면 많은 시간이 걸려요. 그것도 흙길로서 비포장 도로예요. 포장도로까지 올라갈려면 많은 사람이 죽어야 돼요. 길을 제대로 뚫어야 되고 포장도로를 만들기까지는 많은 사람이 죽어요. 시간이 촉박하다면 거기에 대한 위험도는 비례적으로 점점 높아지면 높아지지 낮아지지는 않아요. 우리가 살아생전에 포장도로를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겨우 도로만 놔도 성공 이예요. 겨우 오솔 길만 놔도 성공이예요. 보는 사람들이 있으니까 또가고 또 가고 가는거지요. 마차타고 오는 자들을 끌고 올라 가니까요.


アメリカのような国で開拓に出るとき、家族全員を小さなワゴン(四輪の荷馬車)に乗せて行くと想像してみてください。すべての家族にはそれぞれなりにやるべき仕事があります。父がワゴンを止めて先に行って道を探すなら、母はそのワゴンを囲んで焚き火をおこし、子供たちに食事を与え、あやし、後片付けをしなければなりません。子供たちは母を手伝わなければなりません。目的地があるからです。とはいえ、数人が通るだけの道は自然がすぐに覆い尽くしてしまいます。たとえ森の中を通ったとしても、一、二度歩いただけで道ができ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何度も人が通れば草が踏まれて枯れて、小道ができるのです。道を作るほどになるには多くの時間がかかります。それもまずは土の道で、未舗装の道路です。舗装道路まで行き着くには多くの人が命を落とさなければなりません。道を本当に切り開き、舗装道路を作るまでには多くの人が死にます。時間が切迫しているなら、その危険度は比例してますます高くなり、低くはなりません。我々が生きている間に舗装道路を見ることができるでしょうか。かろうじて道だけでも残せれば成功です。かろうじて小道だけでも残せれば成功です。見る人がいるからまた行き、また行くのです。馬車で来る人々を引き上げることができるからです。


Imagine going out to pioneer in a country like America, loading the whole family into a small wagon (a four wheeled cart). Every family has their own work to do. If the father stops the wagon and goes ahead to find the way, the mother must sit around the wagon, make a campfire, feed and soothe the children, and clean up the rest. The children must help their mother because there is a destination. That said, a path that only a few people walk is quickly covered by nature. Even if people pass through a forest, a path does not form after one or two walks. You have to go many times so the grass is trampled and dies and a trail appears. To make it into a road takes a long time, and at first it is a dirt, unpaved road. To reach a paved road many people must die. To truly pave the way, many people die before a paved road is made. If time is tight, the danger involved increases proportionally and does not decrease. Do you think we will see a paved road in our lifetime? Even barely leaving a road behind is a success. Even barely leaving a footpath behind is a success. Because there are people who see it, others will go again and again. They can pull up those who come by wagon.



비행기 타고갈 때 먹구름이 끼면 땅이 안 보이지요. 땅에다 길을 놓는 것이 결론이라면 어찔 수 없어요. 그 비행기에서 누군가는 땅에 떨어져서 남아 가지고 길을 뚫어야지 돼요. 사람이 태어나서 한 번 죽는데 거짓말을 할 수 없 어요. 살아서 책임지지 못하면 죽어서라도 책임져야 돼요. 영원한 사랑의 삶 을 살기 위해서는 살았던 죽었던 책임져야 돼요. 살아서 자기의 명예와 체면을 지키려는 것은 의미가 없어요. 그런자들은 세월이 가면서 역사가 무자비하게 밟아버릴 거예요.


飛行機に乗って行くとき、黒雲がかかると地面が見えませんね。地面に道を敷くことが結論ならば、仕方がありません。その飛行機から誰かが地面に落ちて残って道を切り開かなければなりません。人は生まれて一度死ぬのですから、嘘をつくことはできません。生きていて責任を果たさなければ、死んでも責任を果たさなければなりません。永遠の愛の生活を送るためには、生きていたか死んでいたかにかかわらず責任を果たさなければなりません。生きて自分の名誉や体面を守ろうとすることには意味がありません。そのような者たちは、時が経つにつれて歴史に無慈悲に踏みつけられるでしょう。


When a plane flies and dark clouds gather, the ground cannot be seen. If the conclusion is to lay a road on the ground, there's no way around it. Someone from that plane must fall to the ground and stay behind to clear the path. People are born and die once, so you can't lie. If you can't take responsibility while alive, you must take responsibility even after death. To live a life of eternal love, you must take responsibility whether alive or dead. Trying to protect your honor and face value while alive is meaningless. Such people will be mercilessly trampled by history as time passes.



사람들에게 왜 산을 타느나고 하면 ‘산이 있기 때문에 산을 탄다,고 하잖 아요. 어려운 것을 하는 것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까 하는게 아니예요? 한 다는 게 쉬워요? 그런 고비를 스스로 넘어갈 수 있어야지 주관할 수 있는 가 능성이라도 생기고 조건이라도 받지 그렇지 않고 하나님이 왜 도와줘요? 어떻 게 자기밖에 모르는 인간들에게 일을 맡겨요? 하나님이 그렇게 모자라고, 부족 하고, 무식하고 그렇게 간사하고 야비해요? 그런자들이야 말로 하나님을 모욕 하는자들이예요.


人々に「なぜ山に登るのか」と問うと、「山があるから山に登る」と言うでしょう。困難なことをするのも、できると思うからするのではないですか?するということが簡単ですか?そのような峠を自ら越えることができてこそ、主管できる可能性も生じ、条件でも得られるのです。そうでなければ神様がなぜ助けるのですか。どうして自分しか知らない人間に仕事を任せるのですか。神様がそんなに未熟で、不足していて、無知で、そんなに狡猾で卑劣なのですか?そのような者こそ神様を侮辱する者たちです。


When people are asked why they climb mountains, they say, "Because there are mountains." Don't you do difficult things because you think you can do, right? Is doing them easy? Only by being able to overcome such a hurdle on your own so that you can have some control and at least some conditions. Otherwise, why would God help you? How can you entrust work to people who only care about themselves? Is God so inadequate, lacking, ignorant, and so deceitful and despicable? Those people are the ones who insult God.



얼마나 남을 생각하고 남을 위해서 살았어요? 얼마나 남을 위해서 자 신을 죽이며 살아왔어요? 이것을 위해 어떤 죽음을 경험했어요? 남을 위해서 지금 죽음의 길을 걷고나 있어요? 전쟁에서는 항복하지 않으면 적을 죽일 수 밖에 없어요. 얼마나 희생했어요? 얼마나 남을 위해서 살았어요? 자신이 어 려울 때 오히려 남에게 교훈을 주며 살아 봤어요? 그 위하는 마음을 찾고자 얼마나 고생을 했어요? 얼마나 발버둥을 쳤어요? 얼마나 많은 피를 흘리고, 땀을 흘리고, 눈물을 훌려 봤어요?


どれほど他を思い、他のために生きてきたのですか?どれほど他のために自分を捨てて生きてきたのですか?これのためにどのような「死」を経験しましたか?他のために今、死の道を歩んでいるのですか?戦争では降伏しなければ敵を殺さざるをえません。どれほど犠牲にしてきましたか。どれほど他のために生きてきましたか?自分が苦しいときに、かえって他に教訓を与えながら生きてみましたか?その思いやりの心を見つけようとしてどれほど苦労しましたか?どれほどあがきましたか?どれほど多くの血を流し、汗をかき、涙を流してみましたか?


How much have you thought of others and lived for others? How much have you lived by sacrificing yourself for others? What kind of death have you experienced for this? Are you now walking the path of death for others? In war, if one does not surrender, one has no choice but to kill the enemy. How much have you sacrificed? How much have you lived for others? When you were in hardship, did you instead live by giving lessons to others? How much did you struggle to find that heart of caring? How much did you struggle and fight? How much blood have you shed, how much sweat have you poured, and how many tears have you shed?



악해지지 않으려면 고생해 봐야 돼요. 해방되기 위해서는 뼈와 살이 아 프더라도 영원토록 잊지 않게 배워야 돼요. 생각이 복잡한 사람일 수록 고통이 심하면 심할 수록 배우는 것이 많아요. 그 고통을 통해서 제대로 배울 수 있어 요. 그 고통을 통해서 나를 찾을 수 있어요. 사람은 많이 아파봐야 더 남을 위하고 사랑하게 돼요. 공존하기 위해서는 서로가 위해야 되고 뜻을 같이 가지 고 있어야 돼요. 다른 것을 가지고 공존할 수 얹어요. 그렇지 않으면 싸워야 되고 전쟁해야 되는 거예요.


悪くならないようにするには苦労をしてみなければなりません。解放されるためには骨や肉が痛くても永遠に忘れないように学ばなければなりません。思考が複雑な人ほど、苦痛が激しければ激しいほど学ぶことが多いです。その苦痛を通して正しく学べます。その苦痛を通して自分を見つけることができます。人は多く痛む経験をしてこそ、より他を思い、愛するようになります。共存するためには互いに尽くし、志を共にしていなければなりません。別のもので共存することはできません。そうでなければ争わなければならず、戦争しないといけないのです。


To avoid becoming evil, you must have hardship. To be liberated, you must learn in a way that will never be forgotten, even if your bone and flesh ache. The more complex your thoughts are, the more intense the suffering, the more you learn. Through that pain, you can truly learn. Through that pain, you can find yourself. The more you suffer, the more you become caring and loving toward others. To coexist, we must care for one another and share the same goals. We cannot coexist with differences. Otherwise, we would have to fight and go to war.



기독교인들은 게을러요. 왠지 알아요? 예수님이 교회를 안 세워서 그 래요. 제자들이 세워서 그래요. 그래서 기독교인들은 대부분이 게을러요. 생 각하는 것과 생활하는 것을 보면 보편적으로 게을러요.


キリスト教徒は怠けています。なぜかわかりますか?イエス様が教会を建てなかったからです。弟子たちが建てたからです。それでキリスト教徒の大部分は怠けています。考えることと生活することを見れば、普遍的に怠けています。


Christians are lazy. Do you know why? It's because Jesus didn't establish the church. It's because his disciples established one. That's why most Christians are lazy. When you look at how they think and how they live, they are generally lazy.



사랑속에 독선성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독선성이 있다고 한다면 그 것은 자기를 놓고 있는 것입니다. 상대를 생각하고 상대를 위해서 자기 자신이 희생한다면 사랑에는 독선성이 있을 수 없어요. 사랑에 독선성이 있다는 것은 선한 행동이지 희생은 아니예요. 그것은 선행일 뿐이예요. 원래 용서는 뉘우 침과 회개가 선행돼야 합니다. 만민앞에 자신의 잘못을 구체적으로 직고하게 되면 용서는 바로 그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지요. 자기 잘못에 대한 선포가 있자마자 즉시 용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거예요.


(보족: 독선성(獨善性)이란, 비난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말이며, 자기의 덕과 옳음을 확신하고, 다른 사람보다 도덕적으로 우월하다고 믿는 태도를 가리킵니다. 이러한 사람은 자주 독선적이고 도덕적인 태도를 취하며,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행동에 관대하지 않고, 자신은 항상 옳고, 우월하며, 결코 잘못이 없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 결과, 다른 사람을 비판하고, 판단하고, 겸손함을 결여하며, 자신과 다른 신념이나 선택을 하는 사람들을 내려다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성서적인 문맥에 있어서는, 독선성은 영적인 함정으로 여겨지며, 자기의 결점을 되돌아보지 않고 “나는 다른 사람보다 더 거룩한 존재다”라는 holier-than-thou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방해하는 원인으로 이해됩니다.)


愛の中に独善性があると思いますか。独善性があると言うならば、それは自己を重きに置いていることです。相手を思い、相手のために自己を犠牲にするならば、愛に独善性があるはずがありません。愛に独善性があるというのは善い行為であって犠牲ではありません。それは善行にすぎません。もともと許しは悔い改めと懺悔が先行しなければなりません。万人の前で自分の過ちを具体的に告白すれば、許しはまさにその次に成されることもあります。自分の過ちの宣言があるや否や、即座に許しが成されうるのです。


(補足:独善性とは、非難的な意味合いで用いられる語であり、自分の徳や正しさを確信し、他者よりも道徳的に優れていると信じる態度を指します。こうした人はしばしば独りよがりで道徳的な態度をとり、他者の意見や行動に寛容でなく、自分は常に正しく、優れていて、決して誤らないと考えがちです。その結果、他者を批判し、裁き、謙虚さを欠き、自分と異なる信念や選択をする人々を見下す傾向があります。聖書的な文脈においては、独善性は霊的な落とし穴とされ、自らの欠点を省みず「自分は他よりも聖なる存在だ」というholier-than-thou的な姿勢をとることが、神との関係を妨げる原因となると理解されています。)


Do you think there is self-righteousness in love? If there is self-righteousness, it means self-importance. If you think of the others and sacrifice yourself for them, there can be no self-righteousness in love. Saying there is self-righteousness in love is a good act, not a sacrifice. It is merely a good deed. Originally, forgiveness must be preceded by remorse and repentance. If you can clearly and directly confess your wrongdoings to the world, forgiveness can come immediately. Forgiveness can happen immediately after the declaration of your wrongdoing.


(supplement: Self-righteousness is a disapproving term that describes an attitude of moral superiority, where a person is convinced of their own virtue and believes themselves to be more righteous or upright than others. Such individuals often display a smugly moralistic attitude, showing intolerance toward others’ opinions or actions, and believing they are always right, superior, and never wrong. This often leads to judgmental, critical behavior and a lack of humility, with a tendency to look down on those who do not share their beliefs or choices. In a biblical context, self-righteousness is regarded as a spiritual pitfall—a “holier-than-thou” mindset that blinds a person to their own flaws and can hinder their relationship with God.)



사랑에는 무조건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 말은 무조건 사랑을 시작해야 된다는 것을 의미해요. 그런데 조건 때문에 타락이 생긴 것이거든요. 이상을 놓고서는 무조건 사랑이 이상인데 반대 경로를 취해야지 탕감복귀라는 것이 이 루어져요. 그래서 조건적인 탕감복귀를 하는 거예요. 무조건을 향하는 조건을 세워야지 무조건에서 떠나버린 조건을 지워버려요. 이상세 계에서의 무조건을 잃어버린 조건을 지워버리는 것은 그길 밖에 없어요.


愛には無条件という概念があるが、これは無条件に愛を始め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とを意味します。ところが条件のために堕落が生じたのだ。理想を置けば無条件の愛が理想であるが、蕩減復帰というものは逆の道を取らなければ成り立たない。だから条件的な蕩減復帰をするのです。無条件を目指すための条件を立てなければならず、無条件から離れてしまった条件を消し去るのです。理想世界における無条件を失った条件を消し去ることはその道しかありません。


There is the concept of unconditionalness in love, which means you must begin love unconditionally. But it was because of conditions that the Fall occurred. With the ideal in view, unconditional love is the ideal, yet the process of indemnity restoration is achieved only by taking the opposite path. Therefore, a conditional indemnity restoration is carried out. You must set conditions that aim toward the unconditional and erase the conditions that have departed from the unconditional. In the ideal world, erasing the conditions that have lost the unconditional can be accomplished by no other way.



달리기를 해보면 골인 지점에 다달을수록 힘든 거예요.


走ってみると、ゴール地点に近づくほどつらくなるものです。


If you try running, the closer you get to the finish line, the harder it becomes.


  • YouTube

©2004-2025 CanaanStation All rights reserved.

All other trademarks and copyrights are the properties of their respective owners.

Newsletter

Stay updated! Subscribe to our newsletter today!

Thanks for subscribing!

bottom of page